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금융 정보

전입신고 온라인 or 모바일 신청 방법(정부24), 세대주 확인 방법

by 도톨스 2023. 5. 7.
728x90

이사를 마쳤으면 반드시 전입신고를 해야겠죠?

 

전입신고는, 세입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은 다들 알고 계시죠?

 

그럼 빠르게 전입신고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정부 24 사이트 방문
2. 본인 인증 후 로그인
3. 전입신고 메뉴 접속
4. 본격 신청 단계(4-1 : 빈집으로 이사, 4-2 : 기존에 세대주가 있는 곳으로 이사)

위 순서대로 빠르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기존 세대주가 있는 경우 및

세대주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4-2)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정부 24 사이트 or 모바일 앱 방문(사이트 바로가기)

 

정부24-전입신고-하는법-온라인

정부 24 정부 24 사이트 혹은 정부 24 앱을 다운로드 후, 접속해 줍니다.

온라인 모바일 모두 가능하며 온라인 모바일 모두 무료입니다. 

 

2. 본인 인증 후 로그인(바로가기)

 

정부24-전입신고-온라인-하는법정부24-전입신고-온라인-하는법

본인인증을 거친 후 로그인을 합니다.

 

 

 3. 전입신고 메뉴로 접속 

 간편하게 검색해서 전입신고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라고 검색하면, 바로 메뉴를 확인 가능합니다.

정부24-전입신고-온라인-하는법

 

4. 본격 신청단계(3단계 구성)

 

1) 1단계 : 신청인 인적사항 확인

정부24-온라인-전입신고-하는법-기본정보-입력

1단계는 간단합니다. 본인의 인적사항을 확인하고

전입하려는 사유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2) 2단계 : 이사 전에 살던 곳의 주소 입력

정부24-온라인-전입신고-하는법

 

정부24-온라인-전입신고-하는법

2단계에서는, 본인이 살던 곳(전입신고 전 주소)의 주소를 입력해 줍니다.

기존 살던 곳에 본인 외에 전입신고된 인원이 있다면, 본인을 선택해 줍니다.

 

3) 3단계 : 이사 간 곳의 주소 입력

온라인-모바일-정부24-전입신고-하는법
온라인-모바일-정부24-전입신고-하는법

3단계에서는 이사 온 곳의 주소를 입력해 줍니다.

아래 우편물 주소 이전서비스, 초등학교 배정정보,

사회적 배려 대상자 요금감면 서비스 등은

개인 상황에 맞게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동의 안 해도 무방)

*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는 개인적으로 매우 편리한 서비스라 생각합니다.

신청하시면, 공공기관의 주소가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추천드리고 싶은 서비스입니다.

 

3단계는 ① 빈집으로 이사 ②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 두 가지 경우가 존재합니다.

 

① 빈집으로 이사 

빈집으로 이사 가는 경우, 신청인 본인이 세대주가 됩니다.

온라인 모바일 정부24 전입신고 하는법

②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곳으로 이사

이 경우가 아마 전입신고 하시는 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이겠습니다.

이사 가려는 곳에 이미 세대주가 있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신청을 해주면 되겠습니다.

온라인-모바일-정부24-전입신고-하는법-기존-세대주가-있는-경우

마지막으로.. 이사 가는 곳에 이미 세대주가 있는 경우

세대주의 주민번호휴대폰 번호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세대주의 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세대주에게 정부 24에서 아래와 같은 문자가 전송이다.

온라인-모바일-정부24-전입신고-하는법-세대주-확인

위 문자를 본 세대주가 정부 24 사이트에 들어가서 세대주 확인을 하게 되면

(정부 24 로그인 후, 주민번호 입력을 통해 확인 처리 가능)

최종적으로 전입신고가 완료됩니다.

 

전입신고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온라인으로 할 수 있어서 간단한 편이나

 

전입신고 자체를 살면서 많이 할 일이 없기 때문에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 거 같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빠르게 전입신고를 마무리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온라인-모바일-전입신고-하는방법-정부2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