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관련 행정6 임대인 에게 도움되는 특약 리스트(feat.주택 임대차 보호법) 임대인을 위한 특약을 정리해 보록 하겠습니다. 유튜브나 블로그에 보면 임차인을 위한 특약은 많이 있는데, 임대인을 위한 것은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계약이라는 것은 임대인 임차인 모두에게 큰돈이 오고 가는 중요한 사항이므로, 임차인에게 중요한 만큼, 임대인에게도 중요한 것은 동일한 사실일 것입니다.(악성 임대인은 물론 제외) 그리하여 오늘은 임대인을 위한 특약을 한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순서대로 빠르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1. 임대인을 위한 특약 리스트>2. 특약의 의미와 부연 설명>3. 특약 작성 시 주의사항 : 특약의 법적 효력>4. 그럼 특약은 안 써도 되는 거 아닌가? 어차피 법적이 우선인데 가장 먼저 임대인을 위한 특약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임대인을 위한 특.. 2024. 5. 9. 전세보증보험 가입 한도 계산법(가입 안되는집), 공동주택가격 하락의 영향(특히 빌라/오피스 전세) 작년부터 연이어 뉴스를 뒤덮고 있는 전세사기로 인해서 보증보험 가입은 필수가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전세 보증한도가 얼마나 되는지, 임대인 임차인 모두가 헷갈리는데요 이 와중에 공동주택 가격이 하락하여 가입가능한 보증 한도가 더 줄어든다는 얘기가 있습니다.최근 위와 같은 기사를 보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전세보증이랑 공시가격, 공동주택가격이랑 이게 무슨 상관이야? 무슨 얘기지?라는 생각이 드실 수 있을 겁니다. 이 모든 게 주택의 보증 한도가 공동주택가격과 연관이 돼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빠르게, 보증 보험 가입 가능 한도 계산법과 최근 공동주택가격의 변동에 대해 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임대인, 임차인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전세 보증보험 한도 계.. 2024. 5. 7. 오피스텔 전세 보증보험 가입 한도 계산(오피스텔 공시가격) 22년부터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전세 사기로 인해서, 요즘 전세 계약 시에는 보증보험을 필수로 가입하는 추세입니다. 빌라 공동주택가격은 한국 부동산원에서 금방 확인이 가능한데 오피스텔은 또 다른 방법으로 알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오피스텔의 전세보증 한도를 알 수 있는지 빠르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시가격?공동주택가격? 기준시가? 헷갈리는 용어정리공동주택가격? 공시가격? 너무 헷갈리는 용어 한번 다시 확인하고 가겠습니다.흔히들 전세 보증 한도 등을 얘기할 때, "공시가격"이라는 용어를 많이 쓰는데요 이게 정말 맞는 것인지한 번만 확인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건물의 종류에 따라서, 간략히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아파트/빌라(다세대) 등 : 공동주택 공시가격 ○ 오피스텔 : 시.. 2024. 5. 4. 온라인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필증 발급 방법(확정일자 출력, 거래계약 신고필증) 오늘은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필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 대출 갈아타기 방법이 간편해지며, 갈아타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경우 사실상 심사를 다시 받아야 하며, 관련 서류를 임대차계약서와 함께 모두 제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때 필수로 요구하는 서류 중 하나가 "임대차계약 신고필증" 입니다. (아래 화면같이, 은행에서 계약서와 함께 신고필증을 요구할 것입니다) 아마 계약 후 이미 신고필증 발급 경험이 있으셨을 것이나 시간이 오래 지나 기억이 잘 안나시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 같은데요 그럼 신고필증 발급방법을 빠르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 접속 검색엔진에서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이라고 검색 시, 나오는 홈페이지를 바로 접속한다. 2. 주택 임대차 계약.. 2024. 3.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