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부터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전세 사기로 인해서, 요즘 전세 계약 시에는 보증보험을 필수로 가입하는 추세입니다.
빌라 공동주택가격은 한국 부동산원에서 금방 확인이 가능한데 오피스텔은 또 다른 방법으로 알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오피스텔의 전세보증 한도를 알 수 있는지 빠르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시가격?공동주택가격? 기준시가? 헷갈리는 용어정리
공동주택가격? 공시가격? 너무 헷갈리는 용어 한번 다시 확인하고 가겠습니다.
흔히들 전세 보증 한도 등을 얘기할 때, "공시가격"이라는 용어를 많이 쓰는데요 이게 정말 맞는 것인지
한 번만 확인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건물의 종류에 따라서, 간략히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아파트/빌라(다세대) 등 : 공동주택 공시가격
○ 오피스텔 : 시가표준액(기준시가)
전세로 많이 거주하는 빌라의 경우, 전세보증 한도 계산 시 "공동주택 가격"을활용하며 오피스텔의 경우 "기준시가"를 활용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그 이유는..? 길기 때문에.. 여기선 pass~)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흔히들 부동산공시가격 알리 사이트에서 검색만 하면, 금방 알아낼 수 있으나 오피스텔은 홈텍스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2. 오피스텔 공시가격 조회 : 홈택스에 가서 간단히 확인 가능
1) 홈택스 로그인 & 상담, 불복, 고충, 제보 탭 선택
2) 하단의 기타 탭 / 기준시가 조회 클릭
맨 하단의, 기준시가 조회 버튼 클릭 후 나오는 탭에서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클릭
3) 오피스텔 주소 입력
내가 확인하고자 하는 오피스텔의 주소 입력 합니다.
4) 최종적으로 나온 공시가격
최종적으로 나온 공시가격입니다.?? 2백90만 원이 공시가격이라고..?? 물론 아닙니다.
단위면적당 기준시가 x 면적으로 한번 계산을 해주면 아래와 같은 오피스텔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979,000 x 56.240 = 167,538,960(원)
이렇게 계산된 가격이 일반적인 빌라의 공동주택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3. 전세 보증보험 가입 한도
지금까지 오피스텔의 기준시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그러면 이제 가장 중요한, 전세보증 한도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여러 가지 설명할 것도 많고, 계산할 것도 많은데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2에서 구한 오피스텔의 기준시가 x 126%입니다. 167,538,960 * 126% = 211,099,090원
HUG, HF 다 상관없이 똑같나?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금 더 부연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오피스텔도 빌라와 마찬가지로 거래량이 적기 때문에, 주택 가격을 산정하기가 애매하고, 그에 따라 기준시가 X 140%를 주택가격으로 보고, 그 가액의 90%가 보험 가입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기에 140% x 90% = 126%라는 숫자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HUG(주택도시보증공사) 홈페이지 자료와 HF(한국주택금융공사)홈페이지 자료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예외적으로, 거래량이 많은 오피스텔 등은 주택가격을 좀 다르게 평가받을 수 있겠습니다만 많이 드물 것이기에 위 기준으로 계산해 보시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그럼 오늘의 포스팅이 오피스텔 전세계약을 하시려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동산 관련 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인 에게 도움되는 특약 리스트(feat.주택 임대차 보호법) (0) | 2024.05.09 |
---|---|
전세보증보험 가입 한도 계산법(가입 안되는집), 공동주택가격 하락의 영향(특히 빌라/오피스 전세) (0) | 2024.05.07 |
온라인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필증 발급 방법(확정일자 출력, 거래계약 신고필증) (0) | 2024.03.25 |
재산세 부과 기준, 세율, 과세표준, 공시가격 총정리 (0) | 2023.07.22 |
등기부등본 발급 방법, 무료발급 방법(온라인, 모바일) (0) | 2023.04.14 |
댓글